*** 이 포스팅은 저작권이 소멸된 원문을 보고 본인이 번역한 글임을 알려드립니다. *** 개인 번역이기 때문에 오역에 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제보는 환영합니다. |
1. 오후 수업
"그럼 여러분은, 지금까지 강이나 우유가 흘러 넘친 자국이라고 들어왔던 이 하얗고 흐릿한 것이 원래 무엇인지 알고 있습니까?"
선생님은 칠판에 매달린 커다란 검은 별자리 지도에서, 위에서 아래로 하얗게 안개낀 듯한 은하의 띠 부분을 가리키며 모두에게 물었다.
캄파넬라가 손을 들었고 그 뒤로 네다섯 명이 더 손을 들었다. 조반니도 손을 들려고 서둘렀지만 그대로 멈췄다. 분명 그게 모두 별이라는걸 언젠가 잡지에서 보기는 했지만, 요즘들어 교실에서도 매일같이 졸립고, 책을 읽을 여유도, 읽을 책도 없어 조반니는 왠지 모르게 그 어떤것에도 확신이 안섰던 것이다.
그런데 선생님은 그것을 빠르게 눈치챘다.
"조반니군, 알고 있죠?"
조반니는 벌떡 일어났지만, 막상 일어서고나서도 확실하게 대답할 수가 없었다. 앞자리에서 자넬리가 조반니를 뒤돌아보며 큭큭대고 웃었다. 조반니는 심장이 콩딱콩딱 뛰어 얼굴이 발갛게 상기되고 있었다. 선생이 다시 말했다.
"커다란 망원경으로 은하를 자세히 관찰해보면, 대체 뭘까요?"
여전히 별이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이번에도 조반니는 바로 대답할 수 없었다.
선생은 잠시 난처한 표정을 보였지만 이내 캄파넬라쪽으로 눈을 돌려,
"그렇다면 캄파넬라씨" 하고 지명했다. 그러자 그렇게도 활기차게 손을 들었던 캄파넬라 역시 머뭇대며 일어서서는 대답하지 못했다.
선생은 의외라는 듯 잠시 가만히 캄파넬라를 바라봤으나, 이내 곧 "그렇다면,"이라고 말하면서 스스로 별지도를 가리켰다.
"이 하얗고 흐릿한 은하를 크고 성능 좋은 망원경으로 보면, 매우 많은 작은 별이 보입니다. 조반니군, 그렇죠?"
조반니는 새빨개진 얼굴로 끄덕였다. 그러나 어느새 조반니의 눈에는 눈물이 가득해졌다. 그렇다. 나는 알고 있었다. 물론 캄파넬라도 알고 있다. 왜냐하면 그 이야기는 언젠가 캄파넬라의 아버지인, 박사의 집에서 캄파넬라와 함께 읽었던 잡지에서 본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 뿐만 아니라 캄파넬라는 그 잡지를 읽고 곧장 아버지의 서재로 달려가서 거대한 책을 들고왔고, 은하 부분을 펼쳐서 그 새까만 페이지에 하얀 점들이 한가득히 있던 아름다운 사진을 둘이서 언제까지고 들여다 봤었던 것이다. 그 일을 캄파넬라가 잊었을리 만무한데도 바로 대답을 하지 않은 것은, 요즘들어 내가 아침이며 낮에도 힘들어 하고, 학교에 나와도 더 이상 활기차게 어울리지 않자, 캄파넬라와도 별로 이야기를 나누지 않게 되어, 나를 불쌍히 여기는 마음에 일부러 대답을 하지 않은것이다. 그리 생각하니 자신도, 캄파넬라도 참을 수 없을 만큼 애처로운 기분이 들었다.
선생님은 다시 말했다.
"그러니 만약 이 하늘의 강을 진짜 강으로 생각한다면, 그 하나하나의 작은 별은 모두 그 강 밑의 모래나 자갈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또 이것을 거대한 우유의 흐름이라고 생각한다면 더더욱 하늘의 강과 잘 닮아있는데요. 즉, 그 별은 모두 우유 안에 세세하게 떠 있는 기름 방울에 해당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강에서 물에 해당하는 것이 무엇인가 하면, 바로 진공이라는 빛을 어떠한 속도로 전달하는 것으로써, 태양이나 지구 역시 그 안에 떠있는 것인데요. 즉, 우리도 하늘의 강물 속에 살고 있는 것이 됩니다. 그리고 그 하늘의 강물 속에서 사방을 보면 바로 물이 깊을수록 파랗게 보이듯, 하늘의 강에서 바닥의 깊고 먼 곳일수록 별이 많이 모이게 됨에 따라 하얗고 흐릿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 모형을 봐주세요."
선생은 빛나는 모래알이 가득 들어있는 큰 양면의 볼록 렌즈를 가리켰다.
"하늘의 강 모양은 바로 이런것입니다. 이 하나하나 빛나는 알맹이가 모두 우리의 태양과 같이 스스로 빛나고 있는 별이라고 생각합니다. 태양이 거의 가운데 쯤에 있고, 지구가 그 바로 근처에 있다고 칩시다. 여러분이 밤에 이 한가운데에 서서 이 렌즈 속을 둘러본다고 치고 보세요. 이쪽은 렌즈가 얇기 때문에 아주 적게 빛나는 알맹이 즉, 별밖에 보이지 않을 겁니다. 이쪽이나 이쪽은 클래스가 두껍기 때문에 빛나는 알맹이, 다시말해 별이 많이 보이고, 먼 것이 하얗고 흐릿하게 보인다는 것이 바로 오늘날의 은하설인 겁니다. 이미 시간이 끝나가니 이 렌즈의 크키가 어느 정도인지, 또 그 속의 여러 별에 대해서는 다음 시간에 이야기하겠습니다. 오늘은 그 은하의 축제날이니, 여러분 모두 밖으로 나가 하늘을 잘 보세요. 그럼 여기까지."
그리고 교실은 잠시 책상 뚜껑을 열고 닫고 책을 포개는 소리들로 가득찼으나, 이내 모두 어김없이 일어나 인사를 하고는 교실을 나갔다.
'Languages > Translat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일본에선 통통족이 인기?! (2) | 2013.07.27 |
---|---|
은하철도의 밤(미야자와 켄지) - 2. 활판소 (0) | 2013.03.09 |
[다케시마의 날] 관련 일본 기사 (2) | 2013.02.23 |
PC 원격조작: 휴대폰에 고양이 사진.. 용의자 체포 (0) | 2013.02.19 |
비관하는 한국, 자민당의 '다케시마(독도)의 날' 공약에 '관계 더욱 악화' (0) | 201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