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대상으로 한 SNS, '친한 사람과 심도깊이' 연결된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 미국산 서비스가 이미 무수하게 존재하는 SNS(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세계에서 스마트폰(고기능휴대전화)용 일본산 어플리케이션 <라인>이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다. 2011년 6월말에 서비스를 시작하여 2012년 9월 초를 기점으로 등록 유저는 세계적으로 6천만명, 국내에서도 2800만명을 돌파했다. 운영사인 NHN재팬의 마스다 아츠시(舛田淳) 집행위원에게 라인이 목표로 하는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물었다.
라인의 특징은 첫째로 스마트폰에 특화되었다는 것, 둘째로 현실의 지인들에 의한 친밀한- 혹은 폐쇄적인- 관계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 셋째로 문자를 입력하지 않고 감정을 전할 수 있는 <스탬프>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두번째 사항에 대해 좀 더 설명하자면 이미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는 교류의 장이 열려 새로운 만남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하지만 그런 일들이 당연해질 때즘 <모르는 사람이 아닌, 알고 있는 사람과 좀 더 간단하게 깊이 이야기하고 싶다>라는 당연한 요구가 발생한다. 라인에서는 스마트폰의 연락처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교류의 매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누구를 새롭게 만날 필요가 없다. 이미 만난 사람들을 라인이라는 필터를 통해 가시화하고 있는 것뿐이다. 그런 점이 젊은사람들을 중심으로 한 많은 유저의 요구에 맞아 떨어진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페이스북과는 다른 <친구들만의 게시판이 필요하다>는 유저들의 요청이 있었다. 친구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고, 친구의 메세지를 저장하는 것 뿐, 확산은 하지 않는다. 페이스북도 트위터도 친구의 친구에게까지 점점 확산되어가지만 라인은 프리이베이트 게시판에 그치고 있다.
원문 : http://sankei.jp.msn.com/economy/news/120918/its12091807570000-n3.htm
'Languages > Translat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중원선거, 탈핵과 재가동에 대한 설득력있는 계획은 나타내지 못하고.. (0) | 2012.12.13 |
---|---|
고개를 들어보면 (0) | 2012.12.10 |
여중고생들의 휴대폰 유행어 대상 (0) | 2012.12.07 |
생명의 무게 (0) | 2012.12.06 |
망설여질때는 <좋아하는 것>을 고르자 (0) | 2012.12.05 |